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티스토리 블로그 검색 노출
- 아카세카
- 리얼클래스 강의 후기
- 노을빛세계
- 리얼클래스 미션 성공
- 리얼클래스 환급
- 한카세카
- 해커스토익 필기노트
- obey me
- 기출 보카
- 해커스토익 교재
- 아카세카 이벤트
- 해커스토익환급
- 해커스토익 0원
- 리얼클래스 미션
- Obey Me 스토리
- 중소기업근로자휴가지원사업
- Obey Me 번역
- Obey Me 이벤트
- 아카세카 이벤트 순서
- 해커스토익 무제한패스
- 리얼클래스 입금
- 리얼클래스 환급 패키지
- 해커스 토익 소문내기 이벤트
- Obey Me 이벤트 의상
- 리얼클래스 아이패드 패키지
- 타일러의 초보 첫걸음 영어
- 해커스토익 무제한패스 교재
- 리얼클래스 환급 성공
- 해커스 토익 영어
- Today
- Total
뽀삐영의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노출]내 티스토리 블로그 사이트맵 10분안에 등록하고 하루만에 구글 검색 노출되게 만들기! 본문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내 티스토리 블로그를 검색에 노출 되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열심히 포스팅을 하고 있던 저는
제가 쓴 글이 구글 검색에 노출되지 않는 다는 사실에 낙담했습니다.
며칠이 지나도 해당 검색어로는 구글에 검색하면 노출이 되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인터넷을 열심히 검색하다가
사이트맵
이라는 검색 기반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이트맵이란....
간단하게 말하자면 구글에게 내 포스트 주소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사이트맵입니다.
내 포스트 주소를 알고 있으므로써 구글은 검색할 때 이 주소를 참고 할 수 있는것이죠.
따라서 내가 원하는 웹페이지에서 검색 노출이 잘 되게 하기 위해
그 웹페이지에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되는 것입니다.
사이트맵 만드는 방법은 아래 페이지로 접속 한 뒤
▼▼▼
www.xml-sitemaps.com
요로코롬 블로그 주소를 붙여넣어주고 Start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포스팅 된 글이 많이 없을수록 빨리 됩니다!
하지만 내가 꾸준히 포스팅을 했다면 조금만 기다린 뒤...
(저는 3분 걸렸네요.)
파란색 버튼 (VIEW SITEMAP DETIALS) 을 클린 한 뒤!
다운로드 받으면 바로 제 블로그의 사이트맵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제 이렇게 만든 사이트맵을 구글 검색에 등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사이트맵을 구글에 올리려면 사이트맵이 있는 주소를 구글이 알고 있어야겠죠?
그래서 다음 단계는 사이트맵 위치를 등록하는 일입니다.
가장 흔하게 쓰는 방법은 내 블로그 글쓰기를 통한 등록입니다.
(내 블로그 관리는 블로그주소/manage 를 입력하면 접근 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같은 경우 새로운 글쓰기로 했을때 주소가 이상하게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사이트맵을 등록하기 전에 꼭 이전 글쓰기 모드로 작성을 해야됩니다.
새로운 글쓰기 모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를 적용 한 뒤
새 글 쓰기 > 파일 > 다운받은 sitemap.xml을 등록해주면 됩니다.
그런 다음 해당 글에서 sitemap.xml 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링크 주소 복사를 누르면 사이트맵을 등록할 준비가 완료됩니다.
마지막으로 구글 서치 콘솔에 내 블로그를 등록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구글에 등록하려면 구글 계정에 로그인을 해야됩니다.
▼▼▼
https://www.google.com/webmasters/#?modal_active=none
www.google.com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해서 뜨는 페이지에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해 줍니다.
그러면 인증을 확인 하고 소유권 확인 창이 뜹니다.
내 블로그가 맞는 지 확인하는 작업이겠죠?
놀라지 말고 HTML 태그를 눌러서
나온 주소를 복사 해 줍니다.
그런다음 내 블로그 관리 > 꾸미기 > 스킨 편집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뜨는 창에서 html 편집을 눌러줍니다.
편집을 눌러서 나오는 창에 구글에서 복사 한 주소를 입력하고 적용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끝났으면 다시 구글 서치 콘솔로 돌아와서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렇다면 소유권이 확인되었다는 창이 뜹니다.
하지만 우리는 블로그를 등록했지 사이트 맵을 등록하지 않았다는 거...
마지막으로 사이트맵만 등록해주면 끝이 납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Sitemaps을 클릭 해줍니다.
먼저 사이트맵에 rss를 추가 해줍니다.
RSS는 자동으로 정보를 수집해주는 도구라고 합니다.
사이트 맵 외에도 rss를 추가하면 검색에 더 노출이 잘 됩니다.
그 다음으로 내 블로그 사이트맵 주소를 등록 합니다.
해당 파일에서 링크 주소 복사를 누르면
https://bbobbi0.tistory.com/attachment/cfile21.uf@324FDVDAK095B3D.xml
이런 식으로 주소가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블로그 주소 앞부분을 자르고 attachment/cfile21.uf@324FDVDAK095B3D.xml
남은 뒷부분을 복사하고 제출 해주면 끝!
사이트맵이 상태가 성공이라고 뜨면 정상적으로 등록 된겁니다.
짜잔.
그리고 어제까지 아무리 구글에 검색해도 뜨지 않던 제 게시글이 뜨기 시작했습니다.
단순히 날짜가 지나서 그런 것일수도 있겠지만...
그 전까지는 아무리 해도 안떴다구요 ㅠㅠㅠㅠ
괜히 사이트맵 효과도 본 것 같고 하기를 잘 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노력한 보람이 있고 뿌듯했습니다.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과정을 요약하자면
1. 사이트맵 추출하기
2. 블로그에 사이트맵 파일 등록
3.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맵 주소 등록
순으로 진행이 됩니다.
한번 적용 해 놓으면 블로그 하는 데에 많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블로그 처음 하시는 분들은 저처럼 사이트 맵에 등록하고
검색에 노출이 많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럼 다음에 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휴가 지원 사업] 2019년도 근로자휴가지원 사업 후기 (0) | 2020.03.09 |
---|